1. 전광판의 발열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 흔히 말하는 파워 - 의 발열
2) 모듈( led 램프) , 드라이브의 발열
2. 먼저 모듈의 발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삼색인 경우 ( 2lamps / 1pixel ) 모듈당 소비 전력이 15w 이며 - dynamic 1/8 duty 기준-
풀칼라 ( 3lamps - R1, G1, B1/ 1 pixel )인 경우는 static 을 기준으로 100w를 산정합니다
이에 따라 여러개의 모듈이 있는 전광판의 경우는 상당한 열이 발생합니다
물론 같은 광도를 표출하는 다른 광매체 -네온,형광등,백열등, 수은등- 에 비하여 훨씬 적은 발열
이라고 하더라도 열은 분명 발생하고 밀폐된 전광판이라면 그 열이 고이고 대류되면서 증폭될 수
밖에 없겠지요
드라이브 역시도 마찬가지로 각 부품들이 열에 노출되고 또한 발열하므로서 내부의 열을 가중 시키
겠지요
3. SMPS의 발열
가장 많은 발열요인은 전원을 공급하는 SMPS에 기인하게 되겠습니다
그래서 전광판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이 열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것입니다
- 물론 접지, 전압 뷸균형, 전압강하 등 SMPS와 관련된 중요한 부분들이 있지만...-
4. 소형 전광판의 냉각방식 ( 300W 이하 )
소형 전광판은 말 그대로 소형이며 보급 저가형이므로 냉각장치를 따로 장착할 정도의 규모와
장치비 자체가 무의미한 경우이지요....
이경우 SMPS도 100W 짜리 를 용량 만큼 연결하여 사용하지요....
이 역시도 정상적으로 하자면 기본적인 강제 공냉장치 - 냉각 팬 - 등이 있어야 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전광판회사에서 보급형을 제작 할 때는 최소비용으로 냉각을 시켜야 함으로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상례 입니다
1) SMPS 의 방열판을 프레임( 일반적으로 알미늄, 갈바-스틸) 에 밀착 설치 함으로서 방열면적
을 넓게 하고 외기에 의한 냉각을 촉진한다
2) 가능한 많이 공기통풍구를 뚫어서 내부의 고온이 자연 대류 배출 되도록 한다....
이 것이 다 입니다.
또한 대부분 이정도면 해결이 되구요...( 물론 100% 완벽하지는 않지요...)
5. 중대형 전광판의 냉각방식
어느정도 규모가 있어서 600W 이상의 SMPS를 장착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SMPS에 냉각팬이
장착되어 있구요
4번의 기본적인 방열기능은 기본 장착되구요
전광판 프레임에도 냉각팬을 장착하여 외기를 강제 흡입하여 내부 순환 대류시켜서 고온의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6. 대형 옥탑용 전광판의 냉각방식
우의 냉각방식은 기본적용하구요
전광판 내부에 에어콘 및 히터를 장착하여 온도 습도 등을 다 조절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전광판 내부에서 사람이 살아도 됩니다
그럼 게임 끝?
이상 같단히 정리하였는데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전화나 멜 주세요!!!!
'전자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선 통신 (0) | 2007.08.21 |
---|---|
전광판의 발열 (0) | 2007.08.21 |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nit 와 mcd?? (0) | 2007.08.21 |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nit 와 mcd?? (0) | 2007.08.21 |
군함전광판 (0) | 2007.08.21 |